거시경제이론의 핵심개념 : 국민소득, 물가, 국제수지
미시? 거시?
미시경제이론: 국민경제의 개별경제 주체(가계나 기업)의 선택 행위 분석에 초점, 개별상품의 시장에 초점
거시경제이론: 국민 경제를 전반적으로 조망함. 국민 전체 소득, 수많은 상품들의 평균적인 가격 동향 등에 초점
국민소득
한 나라의 국민이 벌어들인 총체적인 소득(국내총생산,국민총생산, 국민총소득, 처분가능소득 등)
장기적 관점에서, 지속적으로 우상향(성장) 추세이며, 이를 경제성장이라 부른다.
단계적 관점에서, 해마다 성장률이 다르다. 이를 경기변동(경기순환)이라 부른다.
※ 70의 법칙(rule of seventy) : y =70/x 로 표현되는 식으로, 성장률이 x일 때, y 년이 지나면 국내총생산량이 두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공식
GDP갭: 경제성장(빨간선)과 경기변동(초록선)간의 차이, Peak점에서 가장 크고 Trough점에서 가장 작다.
경기순환의 한 사이클: P점과 P점 사이 또는 T점과 T점 사이. 변동폭은 불규칙적이다.
생각해 볼 문제
각 나라 사이에 소득 격차가 존재하는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?
왜 어떤 나라는 부자고, 어떤 나라는 저성장을 벗어나지 못하는가?
그렇다면 경제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 어떤 정책을 써야 하는가?
물가(Price level)
한 국민경제 내 상품들의 평균 거래 가격
거시경제는 물가가 어떤 동향을 보이면서 변화해 가는지에 초점
인플레이션(inflation):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
디플레이션(deflation):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경우
우리나라의 물가상승추이: 70~80년대 높은 변동폭, 2000대 이후 하향안정화 추세
ex) 1973 석유파동 당시 우리나라 물가상승률은 25% 수준, 체감 물가상승률은 50% 수준
국제수지(balance of payments)
일정 기간 동안의 국가 대 국가의 경제관계, 외화(달러)의 흐름
대외의존도: 총 수출액과 총 수입액의 합을 GDP로 나눈 비율, GDP 중 수출수입분이 차지하는 비중. 대부분 국가의 대외의존도는 20%~30%수준으로 거의 모든 나라가 대외 교역 관계에 있으며, 우리나라의 경우 80%~90%으로 높은 수준
환율: 국제수지의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끼침. 환율이 높으면 원화로 계산한 국민소득을 국제수지계산을 위해 변환 시 수치가 낮게 나타남. 같은 맥락으로 환율이 약간 높은 수준에 위치해야 유리함.
ex> IMF외환위기 발생 시 환율이 900:1정도였으며, 환율로 인한 국제수지 적자 발생하여 외화 유출 발생
'경제학 > 경제용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명목소득과 실질소득 쉽게 이해 (0) | 2022.09.18 |
---|---|
거시경제학1-2 국내총생산 (0) | 2021.03.0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