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공부노트/OO투자권유자문인력

[증권] CH1. 경기분석

by 복습쟁이 2023. 10. 3.
반응형

01. 개념정리

 

물가지수

- 소비자물가지수 : 일상소비용도 재화, 서비스 요금 변동 조사. 1/10000 이상인 460개 품목이 조사대상

- 생산자물가지수 : 1차단계 기업간 거래되는 상품, 서비스 중 1/10000 이상인 892개 품목이 조사대상

- GDP디플레이터 : 명목GDP/실질GDP * 100, 물가 압력의 정도를 측정한다

 

통화지표별 포괄범위

- M1 : 현금 + 요구불예금 +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(MMDA 등)

- M2 : M1 + 기간물 정기예적금 + 시장형상품(CD, RP, CMA, 표지어음 등) + 실적배당형 상품 + 금융채 + 기타(투신사 증권저축 및 종금사 발행어음) 단, 유동성 낮은 만기 2년 이상의 금융상품 제외

- Lf : 전단계 + 만기 2년 이상 정기예적금 및 금융채 등 + 한증금 예수금 + 생보사 보험계약준비금 등

- L : 전단계 + 정부 및 기업 등이 발행한 유동성 시장금융상품(국채, 지방채, 회사채, 기업어음, 자산유동화증권 등)

 

통화유통속도

- 개념 : 명목GDP(물가*실질GDP)를 달성하기 위한 통화량의 회전 정도

- 우리나라는 유통속도 점차하락중

- 사후적으로 추계만 가능하여 예측에서의 유용성은 높지 않음.

- MV = PY -> V = PY/M -> M = PY/V

 

EC방식의 적정통화율 산정

- M = PY/V를 미분하면

- MG = PG + YG - VG가 된다.

- 실질통화증가율이 5%, GDP디플레이터 상승률이 3%, 유통속도변화율이 0.5%일 때 적정통화증가율은 7.5%가 된다

- 7.5 = 5 + 3 - 0.5

 

금리

- 자본의 한계수익률이나 장기적인 명목성장율, 현재와 미래에 대한 시간선호도 등에 따라 결정된다.

- 중앙은행이 시중 금융기관에 대출할 때 부과하는 금리를 공정할인율이라 한다

- 200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자본의 한계수익률은 하향 안정추세를 보이고 있다.

 

금융시장별 대표금리

- 초단기 : 콜금리

- 단기 : CD수익률

- 장기 : 국고채수익률

 

시차(Time Lag)

- 내부 : 정책이 입안되기까지의 시간

- 외부 : 집행 후 효과가 발생하기까지의 시간

- 재정정책 : 국회 동의가 필요하여 내부 길고, 총수요를 바로 상승시켜 외부 짧다

- 통화정책 : 중앙은행이 즉시 조치하여 내부 짧고, 파급경로를 거쳐 효과 발생하여 외부 길다

 

준칙과 재량

- 케인즈학파 : 재량적 통화정책 | 고전학파 : 준칙에 입각한 통화정책

- 통화공급의 증가 -> 이자율 하락 -> 투자 증가 -> 단기적 총소득 증가 -> 물가 상승 -> 금리 상승(장기적으론 효과 상쇄)

- 단기적으로는 실물경기 호전효과가 있음 = 인플레이션 편의(ex> 미국의 양적완화)

- 준칙에 입각한 통화정책은 인플레이션 편의를 발생시키지 않음

 

경기지표에 의한 경기예측

- DI(경기확산지수) : 0~50이면 수축, 50~100이면 상승, 방향성은 있으나 속도는 알 수 없음

- CI(경기종합지수) : 선행(7), 동행(7), 후행(5) 지표 통해 파악, 방향 속도 둘 다 파악 가능, 전월대비 (+)이면 상승, (-)이면 하강

 

설문조사에 의한 경기예측

- BSI : 기업가들의 경기동향 설문, 단기적 예측수단으로 활용 

- CSI : 소바자의 구매의도 및 전망 설문, 경기수축국면 및 저점예측

- BSI와 CSI는 0~200의 값을 가지며 방향은 알 수 있지만 속도는 알 수 없다

- ESI : 경제심리지수, BSI 75%(제조업 45% 비제조업 35%) + CSI 25% 합성하여 산출. 100초과 시 호전, 100하회 시 악화를 의미

 

 

 


02. 오답노트

 

1. 2002년 3월 개편된 통화지표에 의하면 양도성예금증서는 M1으로 표시하고, MMDA는 M2로 분류한다?

-> (X) MMDA는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에 속하여 M1으로 분류, 양도성예금증서(CD)는 M2로 분류

 

2. ①CD ②RP ③CMA ④MMDA 중 M2에만 속하는 금융상품은?

-> 1,2,3

 

3. 케인즈학파 -> 통화주의학파 -> 합리적 기대학파(화폐적 경기변동이론) -> 실물적 경기변동이론의 경기변동유발요인을 나열하면?

-> 기업가의 동물적 감각에 의한 독립투자와 내구소비재지출의 변화 -> 통화당국의 자의적 통화량조절 -> 불완전한 정보하에서의 예상치 못한 통화공급 -> 기술변화에 따른 기간간 노동대체

 

4. EC방식으로 산정한 적정통화증가율이 4%인데 실제 통화증가율은 8%였다. 이로 인해 발생한 경기변동은 어떤 학파의 이론과 부합하는가?

-> MG = PG + YG -VG 로 구한MG가 4%인데, 실제로는 통화당국에 의해 8% 증가했다. 통화당국의 자의적 통화량 조절은 통화주의학파의 이론이다.

 

5. ①정부의 재정지출 확대 ②소득세율 인하 ③특소세 인하 ④통화당국의 국채매입 중 외부시차가 가장 긴 것은?

-> 외부시차가 긴 정책은 통화정책이다. 

 

6. BSI지수가 전월 40에서 금월 90으로 상승했을 때, 이에 대한 해석은?

-> 100미만이면 하강, 100이상이면 상승국면이다. 둘다 100 미만이므로 하강국면이고 속도는 알 수 없다.

 

7. 전체 응답자수 100명 중, 향후 경기에 대해 긍정이 70명 부정이 30명이다. 이 때 BSI지수는?

-> (70-30)/100 + 100 = 140

 

728x90
반응형

댓글